2022. 11. 12. 06:14ㆍHow to become a real programmer
이전에 버전관리를 도와주는 Git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Github의 로컬 컴퓨터에서의 초기세팅하는 글을 작성한 줄 알았는데 작성하지 않았기에 쓰려한다.
아주 간단하기에 아래 단계만 따라하면 될 것 같다
1. Github 계정에 로그인을 한다
2. Github repository를 하나 만든다
3. 터미널에서 세팅한다
Github를 사용해야하니 Github계정에 로그인을 해주자.
후에 레포지토리를 하나 생성해주었다.
이 레포지토리에 코드를 올려 관리하고 싶을 것이다. 그러기 위해선 Quicksetup아래에 .git으로 끝나는 주소를 복사한다.
이후, 터미널을 키고 자신이 올리고싶은 로컬 폴더로 이동한다. 이동하는 방법은 cd (폴더명) 으로 이동할 수 있고 뒤로가기는 cd..이다
나는 Minstagram폴더를 올려주고 싶기에 그곳으로 이동해
git remote add origin (복사한 주소명)
을 쳐주면 해당 레포지토리를 연결할 수 있다.
이후 git add를 해주고, commit을 해주고, push를 해주면 된다. 중간중간 잘 되었는지는 git status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.
폴더 내 파일들을 모두 add하는 git add .을 쓰면 아래와 같이 new file로 파일이 add된다.
이후 git commit -m "First Commit"을 해주자. 앞에 -a는 혹시 add안하면 함께 해주라고 붙여주는 단축어다.
그리고 나서 git push origin main을 하게 되면 origin으로 해둔 아까 그 레포지토리에 main branch로다가 파일을 push해준다.
이렇게 하고 github의 레포지토리를 확인해보면,
올라간걸 확인할 수 있다.
'How to become a real programm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프링 부트(Spring Boot)로 간단한 게시판 만들기 설명 (0) | 2022.08.15 |
---|---|
스프링 부트(Spring Boot)로 간단한 게시판 만들기 - 최종 (0) | 2022.08.13 |
스프링 부트(Spring Boot)로 간단한 게시판 만들기 - 4 (0) | 2022.08.07 |
스프링 부트(Spring Boot)로 간단한 게시판 만들기 - 3 (0) | 2022.08.04 |
스프링 부트(Spring Boot)로 간단한 게시판 만들기 - 2 (0) | 2022.08.02 |